본문 바로가기

엥엥이의 유용한정보

엥엥이와 함께하는 정보처리기사 #9 [데이터베이스1-8]

안녕하세요!!ㅎ 벌써 평일의 중간인 수요일이네요~ㅎㅎ

요즘 들어 시간이 너무 빨리 가는거 같고 ㅠㅠ날씨도 엄청 추워졌고~!!ㅎㅎ

사실 여름보다는 겨울이 더 좋긴하지만요 ㅎㅎ


오늘은 미국대선으로 아침부터 난리도 아니네요~

개인적으로 누가 뽑혔으면 좋겠다 하는 사람이 있지만!!ㅎ 여기서는 언급 안하는걸로~^^ㅎ


자자 잡소리는 여기까지 하고~ㅎㅎ

오늘은 데이터 모델의 개념에 대해서 좀 알아볼까합니당~ㅎㅎ


이부분에서는 데이터모델의 개념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 되니!!ㅎ 확실하게 알아두시면 좋을거 같아요 ㅎㅎ







데이터베이스라는 것은 현실세계를 컴퓨터세계에 넣은것을 말하는것이라는것쯤은 이제 알고 계시죠~?ㅎ

근데 현실세계를 컴퓨터세계에 집어 넣기 위해서는 현실세계를 추상화 시켜서 컴퓨터세계에 넣어야 하지요!!ㅎ

이런 일련의 과정을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하는것이에요 ㅎ


좀더 들어가서 살펴보면!! 현실세계를 컴퓨터세계에 넣기 위해서는 두가지의 단계를 거쳐 집어넣게 되는데~

그 첫번째 단계가 현실세계를 개념화 시키는 과정이고~

두번째가 논리화 시키는 과정이에요!!


이때 첫번째 단계를 우리는 정보모델링이라고 부르게 되고, 

두번째 단계를 데이터모델링이라고 불러용!!ㅎ


이 두가지의 과정을 거쳐 컴퓨터세계의 저장장치에 현실세계를 집어넣을수가 있는데요 ㅎ

이때 현실세계를 개념화 시키는 과정을 도식화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이고, 논리화 시키는 과정을 도식화 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델이 논리적 데이터 모델이에요 ㅎ







개념적데이터모델에서 가장 대표적인것으로 E-R모델이 있구요!!

논리적데이터모델에서 가장 대표적인것으로 관계형 데이터모델, 계층형 데이터모델, 네트워크형 데이터모델등을 들수 있어요 ㅎ


개념적 데이터모델에서는 E-R 모델을 묻는 문제가 많이 나오고 논리적 데이터모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모델을 묻는 문제가 많이 나온다는것은 알아두시면 좋은 팁이될거 같아요 ㅎ


이렇듯 현실세계를 컴퓨터세계에 넣기 위해서는 크게 개념세계와 논리세계를 거쳐야 하는데!!


음..이 단계를 조금더 자세히 살펴본다면


학교를 예로들어볼께요!!ㅎ

학교에는 많은 학생들이 있지요~ 그 학생들 하나하나를 개체라고 할수 있는데요!! 이 과정을 개체정의 라고 할수 있어요!!

이렇게 개체를 정의하고 나면 각각의 개체가 다른 개체라는걸 식별하는 개체식별과정을 거치게 되지요 ㅎ

각각의 개체식별과정을 거치고 나면 그 학생들의 이름이나,전화번호, 주소 등등 각 개체에 대한 상세화를 진행하게 됩니당~

상세화 작업까지 끝나면 이걸 하나로 통합해야겠지요~?ㅎㅎ

이렇게 통합작업이 끝나면 검증단계를 거쳐서 마무리하게 되요!!ㅎ


일단은 크게 데이터모델이 무엇인지와 데이터모델의 종류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는데요~ㅎㅎ

이것으로 데이터모델을 끝을 내는건 아니구요..ㅎ

약속때문에 나갔다와야해서 일단은 여기까지만 포스팅 할께용!!ㅎ


이따 저녁에 시간이 되면~ 다시 뵙는걸루^^히히 ㅎㅎ뿅~